제로보드는 직접 설치하여 사용해 본적은 없지만 방문한 사이트 대부분이 게시판 하면 제로보드 였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지금은 CMS플랫폼으로 발전하여 XE(XpressEngine)이라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XE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러던중 이웃 블로거인 이카루스님이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뚝딱 XE로 변경을 했는데 ’어~ 이거 상당히 괜찮은데?’ 하여 설치해 보았습니다.
A2Hosting은 도메인추가(서브도메인 및 애드온도메인) 그리고 트래픽, 용량 무제한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설치하여 연습해볼 수 있어 좋습니다.
관련글타래
그럼 XE(XpressEngine)설치 하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코어(Core) 내려받기
XE 공식자료실에서 XE Core를 다운받습니다. 다운받은 압축파일은 XE라는 폴더안에 파일들이 들어 있으니 일단 아무 폴더에 압축풀기를 합니다. 용량은 11mb이지만 파일갯수가 많아 보입니다. 압축푼 상태로 FTP업로드는 하루 웬종일 걸릴 것 같으니 SSH로 서버에서 압축을 푸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서브도메인 생성
압축파일을 업로드 하기전에 파일을 올릴 곳을 만들어 주려고 합니다. A2Hosting의 cPanel에서는 서브도메인 생성도 초간단 입니다. 도메인 섹션에서 서브도메인을 선택합니다.
서브도메인에 적당한 이름을 입력하고, 오른쪽에서 메인도메인을 선택 후에 ’생성’만 누르면 끝입니다.
서버업로드 및 압축풀기
FTP로 서버에 접속해보면 /public_html/ 밑에 방금 생성한 서브도메인으로 폴더가 생성되어 있습니다. 그곳에 폴더를 제거하고 다시 압축한 XE코어를 업로드 합니다.
압축을 풉니다. SSH로 압축풀기 방법
1분도 채 안걸려 압축이 모두 풀렸습니다.
XE설치하기
워드프레스나 줌라의 경우에도 설치전에 먼저 DB생성을 먼저 하는데, XE도 마찬가지로 설치전 DB먼저 생성을 해 줍니다.
관련글
생성한 도메인으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설치진행 화면이 나타납니다. 설치언어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사용권 동의에 체크후 ’다음’을 누릅니다.
서버상태가 XE설치에 부합한지 확인후에 다음단계를 진행합니다.
사용중인 웹서버에서 지원하는 DB종류를 선택후 ’다음’을 누릅니다. 무난하게 제일 위에것을 선택.
DB생성시 적어두었던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A2HOSTING에서 사용하는 DB포트는 3306 입니다.
입력을 다 하셨으면 ’다음’을 눌러주세요.
XE관리자 계정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을 끝으로 설치가 마무리 됩니다.
완료를 누르면 XE의 기본설치되는 데모화면이 표시됩니다. 이걸로 XE 코어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데모사이트의 우측 상단의 ’기어’아이콘을 눌러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