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시간에는 줌라 3.X의 한글 언어팩 설치하는 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워드프레스에서 다국어 사이트를 만들어 보신분은 줌라의 다국어 시스템을 접해보시면 정말 편하구나 라고 생각하실 것 같습니다.
줌라 3.x 한글 언어팩 설치하기
1. 관리자페이지 접속
사이트의 설정을 변경하려면 뭘 하든지 우선 관리자 페이지에 접속해야하겠죠?
메뉴바의 Extensions > Language Manager를 선택합니다.
2. 언어 관리 메뉴 (Language Manager)
저는 이미 한글설치를 해서 목록에 Korean이 있습니다만 기본은 English만 있습니다.
좌측 상단의 Install Language를 선택합니다.
3. Install Language
한국어는 이미 설치하여 일본어를 설치해 보도록 할게요.
Find Language를 선택하면 언어목록이 나옵니다. 여러분들은 Korean을 입력한후 돋보기를 누릅니다. 검색한 언어가 표시되었으면 체크박스에 체크후에 Install을 누릅니다.
설치가 성공하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표시 됩니다.
줌라3.x 한글 언어팩 적용하기
1. 한글 적용 순서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어서 눈앞에서 영어를 제거해 보도록 합시다.
Installed – Site는 방문자들이 접속했을때 보는 프론트엔드 화면에 적용시키는 것이고, Installed – Administrator는 관리자 대쉬보드에서 여러분들께서 보는 화면에 적용시키는 겁니다.
적용시킬 언어에 체크후 Default를 누릅니다. 곧바로 언어 목록 가운데 표시되어있는 별표 모양을 누르셔도 됩니다.
Installed – Administrator를 선택하셔서 같은 방법으로 한글을 적용시킵니다.
2. 줌라 한글 적용 완료
줌라3의 관리자 화면이 한글로 바뀌어 사용이 쉬워졌습니다.
줌라3의 프론트엔드 화면에도 한국어가 적용되었습니다. 로그인 폼 부분과 더읽기가 한국어로 바뀌었죠. 이제 본격적으로 다국어 사이트를 만들 준비가 된겁니다.
2. 다국어 지원 시스템 참고사항
Administrator에 적용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Default Language Saved. This does not affect users that have chosen a specific language on their profile or on the login page. Warning! When using the multilingual functionality (i.e. when the plugin system – LanguageFilter is enabled) the site Default Language has to also be a published Content language.
기본언어가 잘 저장되었으니 축하한다는 소리에요. ㅎㅎㅎ 정상적인것이니 걱정하실 필요 없답니다.
Warning의 내용은 다국어 기능 사용시(언어필터 플러그인이 활성화 상태일때) 기본언어를 적용 시켰다 할 지라도 컨텐트 언어도 생성을 해줘야 된다는 건데요.
사이트 언어를 한국어로 적용시키면 로그인, 메뉴, 사용자 메세지 등이 한국어로 바뀌는것일 뿐이지 컨텐트까지 번역이 되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발행하고자 하는 컨텐트의 언어도 따로 생성해 주어야 합니다.
추후에 한국어 페이지 접속시 한국어 컨텐트, 한국어 메뉴 등이 보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